개편된 재정지원 사업과 '자유전공학부' 신설 계획
성공회대는 2026년부터 자유전공학부를 신설할 계획이다. 24년도 학제 개편 이후 2년 만에 새로운 학부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번 학부제 개편의 주요한 원인으로는 재정 문제가 꼽혔다. 교육부의 대학 지원사업 평가 기준이 바뀌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학부제 개편을 추진하는 것이다. 개편된 교육부의 정책과 학교의 계획을 들여다보았다.
지난 3월 10일 성공회대와 제40대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위)는 학부제 개편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2026년 시행 예정인 이번 학부제 개편안은 자유전공학부 신설을 목표로 한다. 자유전공학부는 기존의 ‘OO융합(자율)학부’가 해당 학부 내의 전공 하나를 필수로 선택해야 했던 것과 달리 모든 학부의 전공을 제약 없이 선택할 수 있다. 자유전공학부는 국제학부를 제외한 기존 6개 학부에서 각각 25%씩 입학 정원을 감축하여 신입생을 충당할 계획이다. 사회융합학부의 경우 현재 정원인 101명이 2026년부터 75명으로 줄어드는 식이다. 간담회는 기획처장을 비롯한 학교 측의 기본적인 학부제 개편 계획 및 상황 설명 후 중운위와의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학교 측은 먼저 자유전공학부 도입 이유로 교육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설명했다. 24년도부터 대학 재정지원 사업에 전공자율선택제가 평가 기준으로 추가되어 예산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이에 맞춘 학부제 개편을 준비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는 자유전공학부의 교원 충원 계획에 대한 질문과 ‘획일화되는 교육부의 기준만 따라가다 우리 학교만의 특색을 잃을 수도 있다’는 우려 등 학부제 개편이 이루어질 시에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