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오는 날엔 우산을 더 펴야 한다. 성장률이 하락할 때 정부가 적극적으로 확장 재정을 통해 경기가 추가로 떨어지는 것을 막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손종칠 한국외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외대알리(이하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경제가 어려울수록 정부 지출은 오히려 늘어나야 한다”며 위와 같이 말했다. 최근 이재명 정부가 32조 원 규모의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발표하며, 미국발 관세 압박과 성장 둔화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7월 4일 주요 교역국에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공식화하면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다시 고조되자, 하루 뒤 이재명 정부는 2차 추경 카드를 꺼내 든 것이다. 이는 정부가 시장에 자금을 투입해 민생 비용 부담을 낮추고, 침체 조짐을 보이는 경제에 회복의 동력을 불어넣으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그러나 경기 대응을 위한 적자국채 발행이 오히려 미래의 재정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다. 외대알리는 지난 6월 13일, 손종칠 한국외대 경제학부 교수를 화상으로 만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이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재정 운용이 실제 대학생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물었다. 손 교수는 “정부 지출은 특정
“당신의 변기를 위대하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얼굴을 본뜬 변기솔이 중국에서 인기다. 정장 차림을 한 트럼프의 머리카락이 솔이다. ‘이우의 반격’이라 불리는 이 기묘한 상품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한 중국 저장성 이우시 소비자들의 위트 섞인 저항이자 일종의 문화적 복수다. 이 반발의 불씨는 국경을 넘어, 서울 이문동의 원룸 자취방으로도 번지고 있다. 관세사 1차 시험을 준비 중인 김 모 학우(브라질·22)는 말한다. “관세로 수출이 줄면, 대기업들도 인턴 같은 신입 채용부터 줄이지 않겠어요?” 그에게 관세는 더 이상 시험지 속의 선택지가 아니다. 관세 문제는 졸업 이후의 생계와 직결되는 문제이자, 대학생의 불안을 유발하고 청년의 취업 기회를 뒤흔드는 구체적인 현실이 되고 있다. 관세의 도미노: 트럼프發 압박, 세계를 흔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며 다시 한번 ‘관세 카드’를 꺼내 들었다. 취임 첫날부터 캐나다, 멕시코 등 주요 교역국에 보복성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어 몇 주 만에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145%의 관세를, 한국산 철강과 자동차 부품에는 각각 50%, 25%의 관세를 부
지난 26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제59대 총학생회 ‘박동‘(이하 총학)이 공청회를 열었다. 이번 공청회는 나민석 총학생회장(정치외교·22)과 송준우 부총학생회장(경제·22)이 주관했으며 작년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으로도 송출됐다. 안건은 △총학생회 중앙집행위원회 기조 및 정책 이행 상황 공유 △당선 이후 활동 및 2025년 상반기 활동 계획 보고 △2024년도 하반기 총학생회 결산안 공유 △2025년도 상반기 총학생회 예산안 공유 등이다. 2025년은 개혁의 해, “을사년의 과제 용기 있게 마주하겠다” 총학은 중앙집행위원회의 기조로 삼은 것은 ‘두근두근 심장이 뛰는 대학 생활’이다. 외대인이 누려야 할 권리부터 문화 행사까지 권익을 보장하고 입지를 제고하는 총학생회를 만들겠다는 그들의 다짐이다다. 특히 2025년은 총장 선거를 비롯해 외대를 개혁할 거대한 의제가 많다고 강조하며, 을사년의 과제를 용기 있게 마주해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전했다. 총학은 문화/브랜딩, 진로/취창업, 생활/복지, 시설/안전, 소통/자치, 인권/연대, 교육, 재정/거버넌스 총 8개 분야별 공약 이행 상황을 보고했다. 추가로 총학은 제13대 총장 선거를 위한 공약인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