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교 캠퍼스 공간, 완전한 상생을 이룰 수 있을까?
* 해당 기사는 '외대알리 지면 40호: 비틀어 보자'에 실린 기사로, 2025년 8월에 작성되었습니다. 과거 대학 캠퍼스는 외부의 정치적 탄압으로부터 학생을 보호하는 방패막이자 저항의 출발점이었다. 군사정권은 대학을 권력에 도전하는 세력으로 보고 총학생회 해산, 사복 경찰 배치 등과 같은 방법으로 철저히 억압했다. 하지만 학생들은 캠퍼스라는 거대한 방패 뒤에서 외부 정치 권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며 타인과 토론하며 저항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학은 ‘정치적 통제’ 대상에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는 토론의 장으로 변모했다. 이와 동시에 대학은 내부 구성원뿐 아니라 지역 사회와의 소통 역할도 요구받게 되었고, 이에 따라 캠퍼스는 지역 주민과 어우러지는 ‘공동체의 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해야 했다. 동대문구청의 지원을 받아 지난해 2024년 9월 28일 완공된 한국외대 서울캠퍼스 인조잔디 운동장이 그 예다. 이번 인조잔디 운동장 설립을 통해 동대문구청은 구민들의 생활체육 활성화와 체육시설 확충이라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됐다.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학생들을 위한 복합시설인 '학생성공홀'을 건립하면서 이를 지역 주민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전남대, 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