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9월 발행한 회대알리 19호 지면에 수록한 기사입니다. 18년 만의 연금개혁, 무엇이 달라질까? 2026년 1월 1일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된다. 지난 3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이하 개정안)이 통과된 데 이어, 4월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면서 18년 만의 연금 개혁이 공식화됐다. 이는 2007년 이후 처음으로 단행된 연금 제도 개편이자, 1998년 이후 무려 27년 만에 보험료율이 인상되는 조치다. 국민연금은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소득이 있는 국민이라면 누구나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공적 연금 제도다. 소득의 일부를 보험료로 납부하면, 일정 연령 이후 국가로부터 매달 연금 형태로 수급액을 지급받는다. 직장인의 경우 사업장(기업 등)이 보험료의 절반을 부담하지만, 프리랜서나 자영업자는 전액을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문제는 제도의 지속 가능성이다. 계속되는 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해 현 구조를 유지할 경우 국민연금 기금은 2055년경 고갈될 것이라는 전망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보험료를 더 걷고, 소득대체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연금의 미래를 보전하겠다는 개혁안을 추진했고, 이번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성공회대학교에서 2025 대동제가 열렸다. 부스는 이틀간 새천년관과 승연관 주변 공간에서 운영되었고, 공연은 23일 하루 동안 나눔관 앞 주차장에서 진행되었다. 올해 대동제는 각 학부 학생회와 동아리, 소모임 등이 참여해 먹거리, 체험, 캠페인 등 다양한 주제의 부스를 구성했으며 평등, 인권 존중, 생명 존중, 환경 보호, 나눔 실천 등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기획 부스들도 참여했다. 과거의 아픔을 잊지 않기 위한 ‘어흥’의 실천 동아리 ‘어흥’은 대동제 기간 실 팔찌 만들기 체험 부스를 운영하며 ‘원폭 국제 민중 법정’과의 연계 활동을 소개했다. ‘원폭 국제 민중 법정’은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의 책임을 묻기 위해 시민사회 주도로 열릴 예정인 모의 법정으로, 2026년 뉴욕에서 개최된다. ‘어흥’은 실 팔찌에 원폭 피해자의 상징인 종이학 모양의 비즈를 더해,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을 기억하고 그들의 아픔에 공감하는 의미를 담았다. 부스를 찾은 학우들은 직접 팔찌를 만들며 평화의 메시지에 동참했을 뿐만 아니라, 원폭 피해자들의 역사와 ‘원폭 국제 민중 법정’에 대한 설명도 함께 들을 수 있었다. 부스는 단순한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