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오후,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사이버관 기둥에 총장 후보들의 대형 포스터가 걸려 있는 모습이다. 캠퍼스 곳곳에 부착된 총장후보 선거 관련 포스터는 재학생은 물론 외부 방문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이날은 2026학년도 학생부종합전형 면접이 진행된 날로, 많은 예비 신입생들이 방문했다. 새로운 총장과 캠퍼스 라이프를 함께하게 될 예비 신입생들은 포스터를 바라보며 기대감과 신기함을 동시에 드러냈다. 외대학보 등 학내언론들도 제13대 총장후보 선거 공개토론회를 취재해 보도했다. 재학생들과 교직원을 비롯해 선거에 관심이 많은 구성원들은 총장후보 선거 진행 상황을 담은 기사들을 통해 토론회 주요 발언과 쟁점, 후보별 입장을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회과학관 외벽에는 총장후보 선거 일정과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문구가 담긴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해당 현수막은 도서관, 사회과학관, 잔디광장을 오가는 사람들이 한눈에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됐다. 대형 현수막의 웅장한 규모와 메시지가 방문객들의 시선을 끈다. 잔디광장과 도서관은 재학생들이 자주 머무는 공간인 만큼, 사회과학관 대형 현수막은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투표를 의식하도록 하는 효과를 낸다
군 전역자들이 지적하는 문제들 중 하나는 훈련 시스템의 비효율성이다. 수많은 전역자는 '부조리와 생활 문제 등은 기성 언론을 통해 자주 비쳐왔지만, 정작 더 큰 문제인 건 훈련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라고 강조한다. 훈련은 군인의 일상 과제를 넘어서 전쟁의 리허설이다. 그러나 지금의 방식대로라면 '실전에서 우세를 장담할 수 없다'는 냉소가 최근 전역한 세대를 가로질러 커지고 있다. 이에 외대알리는 간부 출신 2명과 용사 출신 2명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간부의 시각에서 훈련을 고찰하다. 2020년 대령으로 전역한 최 씨는 자신을 “9사단 포병대대 중 한 곳에서 근무한 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2020년 대령으로 전역한 최 씨는 9사단 포병대대에서 근무했다. 그는 “전역한 지 오래되어 지금의 세대가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겠지만, 포대장 시절에 불만이 많았다”고 말했다. 긴 대기시간과 어쩌다 한번 내려오는 *비사격명령, 이로 인한 자주포 내부 승무원(용사+부사관)들의 집중력과 사기 저하 등을 지켜보며, “이런 훈련이 과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훈련인가” 하는 의문을 자주 가졌다고 회상했다. *비사격: 실제 포를 발사하지 않고, 포병이 실전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