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학교는 ‘언제쯤’ 안전해질 수 있을까? 지난 2017년 10월 외대생들과 중고생들 간 마찰이 벌어졌던 LD학부 면학실 앞(사진 - 외대알리) 지난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이하 한국외대 서울캠) 내에서는 많은 사건 사고가 일어났다. ‘콜라 테러’부터 ‘예수의 재림’, 그리고 ‘중고등학생들과의 마찰’까지. 다행히 크게 다친 사람은 없었지만 학교 안전에 대해 마냥 안심할 수는 없다. 학교 치안에 대한 불신은 학내 전반에 퍼져 있는 듯하다. ‘학교 치안과 학내 구성원 안전’을 주제로 외대알리가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학교가 안전하다고 답한 사람은 약 19%에 지나지 않았다. 반면 절반 이상이 학교가 안전하지 않다고 대답했다. 캠퍼스가 어둡고, 외부인이 지나치게 자유로이 돌아다닌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지난 해 11월, 부총장과의 대화에서 부총장은 “학생 안전에 대한 문제에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며 24시간 신고를 할 수 있게 하고 CCTV와 조명을 개선하는 것, 외대 지킴이와 외대 사랑 순찰대를 만드는 등”이라며 그간의 활동을 설명했다. 또한 “학교의 경비 인력을 늘리는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라 하며 학교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무더운 여름방학 동안 아무것도 안하고 집에서 보낸 몇몇 친구들은, 개강하고 나니 부쩍 몸이 무거워졌음을 체감한다. 반대로 아무것도 안하고 집 안에서 땀만 쪽쪽 빼고 나니, 부쩍 체력이 떨어진 친구들도 있다. 날씨 좋은 가을이 왔겠다, 성별을 떠나 좋은 몸매가 아닌, 건강한 몸을 위해서 운동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학기 중에는 너무 바쁘다며 운동을 기피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학생회관 지하2층에 본교 헬스장이 운영 중이다. 비용은 무료다(우와~짝짝짝). 시설도 수준급으로 웬만한 헬스장보다 다양한 기구를 갖추고 있고 샤워장까지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운동 중 나오는 음악도 수준급으로 선곡해 듣기만해도 운동할 맛이 난다!) 유일하게 챙겨갈 것은 헬스장에서 몸을 움직일 에너지와 운동복 그리고 수건 한 장. 그리고 지난 학기까지만해도 이용을 위해서는 학생증이 필요했는데 귀중품칸이 따로 만들어지고 나서 필요없다는 것! 물론, 가방을 안전하게 둘 곳이 사라져 불편하다는 이야기도 있다. 학교의 운동기구는 총 32종 이다. 기자가 사는송파구 2개 헬스장에 비해 훨씬 다양한 기구를 보유하고 있다. 송파구 가락동 S헬스장은 15개 기구, 송파구에서 운영하는 곰두리 체육관도 1
깐뚜치오에서 편집회의를 하고 있었던 알리. 회의 중간 화장실을 가다가 벽면에 일견 심각해 보이는 크랙을 발견했다. 왠지 여기서 회의를 하면 안 될 것 같은 불안감과 함께 기숙사에 거주하는학우들의 안전도 염려되기 시작했다. 과연 안전한 것일까?모든 크랙이 이렇게 크지는 않지만, 전 층에 걸쳐서 크랙이 발견되었기에 걱정을 느끼며 조영훈 시 설관리팀장과 만났다. 조영훈 시설관리팀장의 말에 따르면 학교는 이미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건물의 크랙 중 하리나 기둥에 금이 간 것은 없고, 모든 크랙은 칸막이를 위한 조적벽에 나타났다. 즉, 건물을 지탱하는 축인 내력벽에 금이 간 것이 아니라 방을 나누는 칸막이에 금이 갔기 때문에 안전에는 아무 문제 없다는 것이다. 조영훈 시설관리팀장은 ‘만약 내력 구조에 금이 갔다면 안전진단이나 구조진단 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정조치를 해야 하지만, 미가엘관은 건축 구조상 문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미가엘관의 크랙은 건물을 지을 당시 조적과정에서 수평을 맞추지 못한 것이 주원인이라고 한다. 수 평이 맞지 않게 쌓은 상태에서 건조가 진행되었고, 이에 더해 시공 당시 유리창을 달지 않은
작년에 공사하겠다던 미가엘관 금간 벽새학기는 시작됐고새내기는 기숙사에 들어왔는데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취재/글=하태성 기자 kygy27@naver.com 취재/사진=조일신 기자 majesticer13@gmail.com “이번 겨울에 행복기숙사 사업을 진행하면서 미가엘관도 함께 검사하고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겨울방학 동안 미가엘관 1층 화장실이 있는 벽면에 보수공사를 할 예정이다.” 지난 10월, 학교는 미가엘관 내부 벽의 크랙을 겨울방학 때 수리하겠다고 회대알리를 통해 학생들과 약속했다. 하지만 개강 당일에 현장을 찾아갔을 때 여전히 벽에 크랙이 남아있었다. 겨울방학 동안 벽면을 수리하지 않았던 것이다. 회대알리는 겨울방학 동안 왜 벽면을 수리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자 시설 관리와 관련 있는 직원 여러 명에게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러나 직원들은 연락을 회피하거나 미가엘관을 수리하겠다고 약속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처음에는 학교 행정 기구에서 시설보수와 영선을 담당하는 이대필 부장에게 연락했다. 이대필 부장은 “당시에는 시설보수를 총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일을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