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성공회대학교 제36대 비상대책위원회가 주관한 전체학생대표자회의에서 모두의 화장실이 의결되었다. 17일 중앙운영위원회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가결되었으며 비대위는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기에 진행하고자 한다”며 추진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이후 학부 학생회를 비롯하여 학내 자치기구와 학내 교수들의 지지 성명문이 올라오면서 모두의 화장실 의결이 가시화되었다. 지지 성명문에 동참한 사회융합자율학부 박경태 교수는 27일 회대알리와의 통화에서 “특별한 시설이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만들어져야 하고,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만드는 것은 우리의 의무”라고 설명했다. 박경태 교수는 모두의 화장실 추진 과정에 관해서는 중앙운영위원회에서 의결을 한 사안이고, 각 단위의 대표자들이 모여서 회의를 한 결론이니 대의제 민주주의에서 형식요건은 갖추었다고 말했다. 다만, 반대하는 학생들을 설득하는 과정은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콘텐츠융합자율학부에 재학 중인 A학우는 “남자 화장실을 설치하는 데 모두의 의견을 받지 않는다. 여자 화장실도, 장애인 화장실도 마찬가지다. 모두의 화장실도 같은 측면이라고 생각한다”며 “공론장을 통한 설득이 이루어져야 하고, 모
"비대위원장님, 한 말씀 부탁드릴게요." 옆에 계신 부비대위원장님도 한 말씀 거들어주시면 참 좋지요. 개강은 벌써 4달 전 이야기, 종강한지는 열흘도 더 지났다. 4달도 채 되지 않아 한 학기가 끝났다. 그 시간 동안 우리가 정말 수업만 들었을까? 출튀, 자체휴강을 이야기 하고 싶어서가 아니다. 강의가 전부가 아니다. 축제, 치열했던 시험 기간, 학교를 다니며 불평했던 시간들까지. 모두 우리가 보낸 한 학기의 일부다. 매드클라운의 무대, 간식을 받느라 줄 섰던 기억, 그리고 수많은 일들까지. 오늘은 그 한 학기를 만든 데 기여했던 인물들, 이동찬 비상대책위원장, 송현종 부비상대책위원장을 만났다. (회대알리는 알, 이동찬 비상대책위원장은 이, 송현종 부비상대책위원은 송으로 표기했습니다.) 알: 1학기를 마쳤다. 소감이 어떠한가? 이: 정신이 없었다. 4월에 비대위 인준을 받고, 5월에 대동제 사업을 진행했다. 그리고 농활 준비하면서 시간이 다 지나갔다. 소감은.. 잘 한 것 같다.이 선택을 잠시 엄청 후회했었다. 너무 힘들었었지만, 누군가 할 사람이 있어야 했다. 또한 사업을 좋게 평가해주시는 분들도 계시고, 대동제 때 많은 분들께서 참여해
“총학, 누가 있는데?” 2016년 11월 28일 우리 학교는 제 32대 총학생회 선거를 치르는데 선거를 치르기 전에 궁금한 점이 생겼다. 총학이란 어떤 일을 하는 집단이고 어떤 구성을 이루고 있는지 궁금해 하는 학생은 나뿐 아닐 거다. 학생들에게 총학이란 어떤 존재인지 알아보자. 이 지면을 다 읽어본 학생이라면 옆자리에 앉은 학우에게 “너 총학이 뭔지 알아??”라고 자신 있게 물어볼 수 있을 거다. “총학생회의 구성원 자격은 휴학생을 제외한 모든 재학생이다.” 총학생회의 회원 자격은 매우 간단하다. 세종대학교에 재학하는 모든 학생은 회원이며 회원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지나 총학생회장 선거에는 4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만이 출마 할 수 있다. 총학생회의 의결기구로는 △전체학생총회 △전체학생대표자대회(전학대회) △확대운영위원회(확운위)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가 있다. 모든 의결기구의 의장은 총학생회장이 맡고있으나 각 기구 마다 구성이 다르고. 중운위<확운위<전학대회<전체학생총회 순으로 권한이 커진다. ▲ 학생회 의결기구 가장 적은 인원의 중운위는 적은인원이지만 총학생회장&mid
지난 해 이맘때다. 조봉현(사범·영교 09) 전 총학생회장과 권소정(상경·국통 10) 전 부총학생회장은 ‘외대스캔들’이라는 이름으로 제 47대 총학생회장 선거에 출마했다. 그들은 “외대의 캔들(candle)이 돼 우리학교를 환히 밝히고 싶다”면서 “문제유발이 아니라 ‘당당한 폭로’라는 의미의 스캔들을 일으킬 것”이라 말했다. 이름에 걸맞게 주변을 밝히는 핫핑크색 의상을 입은 채였다. 학생들의 권리를 대변하는 총학생회는 준비한 공약을 지키고 기본적으로 해야 할 임무를 완수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여러 사건에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 길고도 짧은 1년 동안 2013 외대스캔들은 얼마나 ‘당당한 폭로’에 성공했을까. 선거 운동 시 그들이 입었던 핫핑크색 만큼이나 진실로 학교를 밝혔을까. 지난해 외대스캔들을 이끌었던 조봉현 전 총학생회장(왼쪽)과 권소정 전 부총학생회장(오른쪽) 새로 출범할 2014 총학생회가 우리학교를 더 환히 밝힐 수 있게끔 2013년 제 47대 총학생회 외대스캔들(이하 외대스캔들)
|외대알리|* 본 기사는 교지의 기사를 기반으로 작성했기 때문에 해당 기사의 어투와 표현 일부를 그대로 옮겨 적고 재구성했음을 밝힙니다. 제1화 지난 이야기2010년, 예감은 들어맞았나2010년, 좋은예감 총학생회와 중앙운영위원회는 크게 두 가지 이유를 들어졸업준비위원회(졸준위)를 해체시키고 그 업무를 총학이 담당하도록 했다. 졸준위 위원이 공정치 못하게 선임됐다는 것과 졸준위의 앨범 사업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만 볼 때,그 해의 하계 졸업식은 매우 불쾌한 추억으로 남았다. 당시 총학생회가 내세운 이유 중 첫 번째인 졸준위 위원 선임 문제는 분명 석연찮은 구석이 있다.여기서 학칙을 잠깐 보면, 제 85조 (구성) 각 단대 졸업준비위원은 다음과 같이 선임한다. 차기 년도 학생회 선거 전까지, 당해 연도 단대 학생회장이 6학기 이상 등록을 필한 자 중 1인을 추천하고, 단대 운영위원회에서 인준을 받는다. 참고로, 중앙운영위원은 단대 학생회장들이다. 그리고 학칙에 따르면 졸업준비위원회는 각 단대 학생회장의 추천을 받고 그 회장에게 인준을 받은 사람이다. 그러므로 ‘구성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는 것은 단대 학생회장에게 책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