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 누가 있는데?” 2017년 11월 27일부터 제33대 총학생회 선거가 있다. 총학은 어떤 일을 하고 어떻게 구성됐을까. 이 기사를 다 읽어본 학생이라면 옆자리에 앉은 친구에게 “너 총학이 뭔지 알아?”라고 자신 있게 물어볼 수 있을 거다. “총학생회의 구성원 자격은 휴학생을 제외한 모든 재학생이다.” 세종대학교 재학생은 모두 총학생회의 회원 자격을 갖는다. 회원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진다. 단, 총학생회장 선거에는 4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만 출마할 수 있다. ▲ 학생회 의결기구 총학생회의 의결기구로는 △전체학생총회 △전체학생대표자대회(전학대회) △확대운영위원회(확운위)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가 있다. 중운위는 총학생회장·부총학생회장, 각 단과대 학생회장, 동아리연합회회장, 예비역협의회의장이 속해 있는 상임기구로 학생회비의 책정과 배분을 맡는 핵심적인 기구다. 확운위는 전학대회 다음가는 비상임 의사결정기구며 중운위 위원을 포함한 단과대학 부학생회장, 동아리연합회 부회장, 각 과 학생회장 및 독립학부 학생회장으로 구성, 회칙 개정 발의권을 갖는다. 전학대회는 전체학생
레고능 단일후보잉뎅 레고능 차곡차곡 쌓아나간다능 의미잉뎅 레고가 공약을 내놓았는뎅 얼마나 잘썼나 볼껀뎅 같잉보능겡 오뎅?^^ ▲ 'LEGO' 선거운동본부 1. 등록금 인하 및 장학금 확충 - 등록금심의위원회를 통해 재단 측의 전입금 확충 약속 이행, 적립금 활용 요구 - 교내 장학위원회 학생위원 참여를 통해 일방적인 장학금 지원제도 변경 사전파악 해당 공약 내용과 취지는 좋으나 기존 등록금심의위원회의 구조적 한계, 첫째로는 등록금심의위원회의 학생위원 수가 절반을 넘지 못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인 학생 측 의사반영에 어려움이 있다. 다시 말해서, 학생위원 모두가 표결에서 반대를 던져도 의결에는 문제가 없는 셈. 또한, 해당 학생위원들이 교직원과 실무자들과 비교하면 전문성과 정보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협상력이 부족할 수 있다. 2. 수업 (1) 교육환경개선 - 매월 정책토론 & 설명회 개최 - 설문조사를 통해 해당 시기의 문제점 파악 정책토론과 설명회에 대해서 충분히 참여유도가 될지가 관건이다. 공청회에서 총학은 한 학기에 한번에서 한 달에 한 번으로 정책토론회를 빈도를 높여 참여 기회를 높이면 학생들이 더 많이 참여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하지
지음과 함께한 한해도 마무리 되어간다. 한 해 동안 지음이 학우들을 위해 소통, 교육, 등록금, 복지, 문화분야에서 어떤일을 했었는지 알아보자. 소통 총학생회는 학생을 대표하는 기구이다. 학생의 이익을 대변하는 역할을 해나가야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뭘 원하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역할이다. 세종알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 총학생회의 활동에 있었던 아쉬운 점을 물어보는 질문이 있었다. 이 중 ‘홍보 부족’과 ‘소통 부족’이라고 답한 학우가 다수 있었다. 총학생회에서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지는 물론이고, 심지어 어떤활동을 하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학생이 많았다. 지금 총학생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통 수단은 페이스북이다. 페이스북이 가장 많은 사람이 쉽게 인터넷 상에서 접할 수 있는 방식인 건 사실이다. 그래도 오프라인 소통을 소홀히 하기엔, 아직 페이스북을 사용하지 않는 학생 역시 많다. 또한 페이스북은 매체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해 장시간 공지를 노출시키기가 어렵다. 조금 촌스러운 방식일 수 있지만, 그래도 아직은 게시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또한 현재 학생회비 예산안과 결산안은 총학생회 공식포털인 ‘위하세’에 올라가고 있다. 이는 페이스북에조차
“총학, 누가 있는데?” 2016년 11월 28일 우리 학교는 제 32대 총학생회 선거를 치르는데 선거를 치르기 전에 궁금한 점이 생겼다. 총학이란 어떤 일을 하는 집단이고 어떤 구성을 이루고 있는지 궁금해 하는 학생은 나뿐 아닐 거다. 학생들에게 총학이란 어떤 존재인지 알아보자. 이 지면을 다 읽어본 학생이라면 옆자리에 앉은 학우에게 “너 총학이 뭔지 알아??”라고 자신 있게 물어볼 수 있을 거다. “총학생회의 구성원 자격은 휴학생을 제외한 모든 재학생이다.” 총학생회의 회원 자격은 매우 간단하다. 세종대학교에 재학하는 모든 학생은 회원이며 회원은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지나 총학생회장 선거에는 4학기 이상 등록한 재학생만이 출마 할 수 있다. 총학생회의 의결기구로는 △전체학생총회 △전체학생대표자대회(전학대회) △확대운영위원회(확운위)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가 있다. 모든 의결기구의 의장은 총학생회장이 맡고있으나 각 기구 마다 구성이 다르고. 중운위<확운위<전학대회<전체학생총회 순으로 권한이 커진다. ▲ 학생회 의결기구 가장 적은 인원의 중운위는 적은인원이지만 총학생회장&mid
이번 총학 선거를 맞아 세종알리에서 총학에 대한 212명의 학우들의 생각과, 의견을 모아보았다. 설문조사는 11월 10일(목)부터 18일(금)까지 일주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올 한 해의 총학에 대해서 평가하는 설문으로 구성되었다. 그 중에서도 소통, 복지, 문화, 등록금 문제같이 학우들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문제들에 대한 의견을 설문으로 구성했다. 그리고 앞으로 당선된 후보에게 바라는 점까지 알아보았다. 또 2개의 개방형 질문을 통해서 학우들의 의견을 모아서 요약했다. 1. 총학생회의 활동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가? 그렇다 6%, 보통이다 38%, 아니다 56% 2.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가? 그렇다 14%, 보통이다 67%, 아니다 19% 3. 총학생회에서 기획한 행사나 대회(농촌봉사활동, 대동제, 힘미제, 야식행사 등)는 학생들의 필요를 충족시켰는가? 그렇다 26%, 보통이다 56%, 아니다 18% 4. 총학생회는 합리적인 등록금 책정, 장학금 확충, 등록금 인하를 위해 노력했다고 생각하는가? 그렇다 9%, 보통이다 44%, 아니다 47% 5. 총학생회는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복지시설과 교육시설 개선에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