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삶에 특정한 관문이 있다고 간주됩니다. 졸업-연애-취업-결혼-출산을 거치는 경로의 삶만이 정상이라 치부됩니다. 그러나 그 당연한 정상을 성취하는 것조차 어려운 시대입니다. 경쟁은 심화되고 쟁취할 수 있는 파이의 규모는 축소되는 때에, 아직도 특정한 경로를 이행하는 삶만이 ‘정상적 삶’이라 정의되는 건 이상합니다. 청년은 그 당연하고 고작인 ‘정상’을 성취하기 위해 혈안입니다. 이만큼 버둥거려 노력해야 겨우 ‘정상’이 될 수 있다고 언급됩니다. 대학알리는 특정하고 좁은 ‘정상적 세대론’에서 배제되는 이들의 이야기를 다루려 합니다. 혹은 그 정상에서 자발적으로 벗어난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려 합니다. 어떤 특정한 유형만이 ‘청년’이고 ‘정상’일 수 없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규범 같은 건 없습니다. 때문에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내 서사 김광석은 서른이 좀 넘어 ‘서른 즈음에’를 불렀다. ‘서른’은 상징적인 숫자였다. 삶이 계획대로 흘러가는 게 아님을 감각할 정도의 나이가 ‘서른’이라고 여겼다. 스무 살에 그 노래를 노래방에서 들은 적 있다. 내가 평소에 오만하다고 생각한 사람이 불렀다. 김광석의 노래엔 자기 삶을 후회하는 화자가 있다. 그걸…
※ 삶에 특정한 관문이 있다고 간주됩니다. 졸업-연애-취업-결혼-출산을 거치는 경로의 삶만이 정상이라 치부됩니다. 그러나 그 당연한 정상을 성취하는 것조차 어려운 시대입니다. 경쟁은 심화되고 쟁취할 수 있는 파이의 규모는 축소되는 때에, 아직도 특정한 경로를 이행하는 삶만이 ‘정상적 삶’이라 정의되는 건 이상합니다. 청년은 그 당연하고 고작인 ‘정상’을 성취하기 위해 혈안입니다. 이만큼 버둥거려 노력해야 겨우 ‘정상’이 될 수 있다고 언급됩니다. 대학알리는 특정하고 좁은 ‘정상적 세대론’에서 배제되는 이들의 이야기를 다루려 합니다. 혹은 그 정상에서 자발적으로 벗어난 이들의 이야기를 들으려 합니다. 어떤 특정한 유형만이 ‘청년’이고 ‘정상’일 수 없습니다.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규범 같은 건 없습니다. 때문에 당신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내 서사 그게 당연하다. 상식이다. 일반적이다. 그런 말을 들으면서 자랐다. 서면에 명시된 규범이 있는 것도 아닌데 “이런 것이 당연하고 정상이다”란 의식이 생겼다. 이성애자 남녀 부모와 동생으로 구성된 가족이 있다. 초중고를 나와 대학에 진학했다. 전역하고 복학했다. ‘일반적’이라 간주되는 삶의 배경을 갖고 ‘일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