깐뚜치오에서 편집회의를 하고 있었던 알리. 회의 중간 화장실을 가다가 벽면에 일견 심각해 보이는 크랙을 발견했다. 왠지 여기서 회의를 하면 안 될 것 같은 불안감과 함께 기숙사에 거주하는학우들의 안전도 염려되기 시작했다. 과연 안전한 것일까?모든 크랙이 이렇게 크지는 않지만, 전 층에 걸쳐서 크랙이 발견되었기에 걱정을 느끼며 조영훈 시 설관리팀장과 만났다. 조영훈 시설관리팀장의 말에 따르면 학교는 이미 문제를 인지하고 있었다. 지금까지 발견된 건물의 크랙 중 하리나 기둥에 금이 간 것은 없고, 모든 크랙은 칸막이를 위한 조적벽에 나타났다. 즉, 건물을 지탱하는 축인 내력벽에 금이 간 것이 아니라 방을 나누는 칸막이에 금이 갔기 때문에 안전에는 아무 문제 없다는 것이다. 조영훈 시설관리팀장은 ‘만약 내력 구조에 금이 갔다면 안전진단이나 구조진단 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정조치를 해야 하지만, 미가엘관은 건축 구조상 문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미가엘관의 크랙은 건물을 지을 당시 조적과정에서 수평을 맞추지 못한 것이 주원인이라고 한다. 수 평이 맞지 않게 쌓은 상태에서 건조가 진행되었고, 이에 더해 시공 당시 유리창을 달지 않은
※대학언론?우리나라 대학언론은 발행비,학생 기자들의 고료 또는 장학금을 학교에서 지원받는다.그리고 전국180여 개 대학 중142개 대학에서 발행 전 기사를 검열하고 있다.학교가 원하지 않는 기사는 편집되거나 삭제된다.때문에 학교에 소속된 대부분의 대학 언론은 학교가 원하는 기사를 쓸 수밖에 없다. 학생들에게 학내의 중요한 이슈를 알리고 학내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학내 언론이 제 역할을 못 하게 되며,학생들은 그 매체를 외면하게 된다.또 아직 다수 학내 언론은 선배와 후배 사이에 군대식 문화가 남아있다.상명하복의 강제적 형태로 인해 기획회의에서 발언의 기회가 줄어들고,다양한 의견을 공유하지 못하기 때문에 매년 같은 패턴의 반복과 뻔한 기획,누구나 쓸 수 있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모든 지면을 채우게 된다.재미없는 매체는 자연히 관심에서 벗어나기에 학내언론의 힘은 점점 더 떨어지고 있다. 학생들의 알 권리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정보의 부족으로 학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기 힘들어지고 결국 대학의 민주주의가 후퇴하게 된다.다행히도 우리'성공회대학교'의 미디어센터에서 발행하는 학보는 건강한 편이다.발행비와 장학금을 지원받지만,학교 측의 강
프라임 사업, 왜 문제이고 뭐가 문제일까김서정 기자 mouloud@skhu.kr 지난 2일(수) 오후 1시 학교본부가 피츠버그홀에서 프라임 사업 신청 계획을 밝혔다. 박윤규 부총장의 설명은 간단하게 말해 대학구조개혁평가에 대응하기 위해 프라임 사업을 하지 않으면 교육부의 강제적인 정원 감축을 받아들여야 하고, 그러면 학교의 생존 자체가 위험해진다는 얘기였다. 대학구조개혁평가는 무엇이고, 프라임사업은 무엇이며, 우리 학교가 프라임사업을 해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리가 정리했다. 지면이 허락한다면 '프라임사업'이 왜 허술한 사업인지도 이야기해보자. 대학구조개혁평가 이제는 시조새가 된 10~12학번들 생각해보자. 여러분들이 동시에 수능을 치른 사람 수는 62만 명~68만 명을 오갔다. 그런데 2020학년도에는 고등학교 졸업자 수가 약 46만 명으로 줄어든다. 대학에 자리가 남는다. 그래서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해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시행하고, 이를 통해 대학의 정원을 줄이고 교육을 개선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총 3주기로 진행되는 이 계획은 교육과정을 평가해 등급이 낮은 학교일수록 더 많은 정원을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표1 참조)
성공회대학교 막장드라마:어쩌다 프라임사업을 하지 않으면 망할 지경까지 왔나지금부터 할 이야기는 내가 입학한 이후 지금까지 지켜본 학교의 이야기다. 또한 지난 5년, 혹은 그보다 조금 거슬러 올라간 시점부터 지금까지 성공회대가 겪어온 위기의 역사이다.※이 기사에는 기자의 개인적인 소회와 견해가 포함되어 있음을 밝힙니다.비민주와 무책임내가 2학년이 되던 해 여름, 양권석 전 총장(신학과 교수)의 임기가 끝났다. 재단 이사회에서 구성한 '총장후보 추천위원회(이하 총추위)'는 새 총장 선출을 위해 분명히 교수회에서 후보를 추천받기로 했다. 교수회는 무기명 투표로 이재정 전 총장(현 경기도 교육감)을 단일후보로 추천했다. 그러나 총추위는 교수회가 추천한 후보를 일방적으로 배제했다. 이유는 "선배 사제인 이재정 신부를 후배 사제와 경쟁시키는 것이 도리에 맞지 않다"고. 개가 웃을 이유였다. 9월, 이정구 현 총장이 취임했다. 당시 교수회 의장 정해구 교수(사회과학부)는 항의의 뜻으로 의장직을 사퇴했다. 2012년 9월 28일 이정구 총장의 취임식 당시 침묵시위를 진행한 학생들이 이사회의 비민주적인 총장 선출에 항의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작년에 공사하겠다던 미가엘관 금간 벽새학기는 시작됐고새내기는 기숙사에 들어왔는데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 취재/글=하태성 기자 kygy27@naver.com 취재/사진=조일신 기자 majesticer13@gmail.com “이번 겨울에 행복기숙사 사업을 진행하면서 미가엘관도 함께 검사하고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겨울방학 동안 미가엘관 1층 화장실이 있는 벽면에 보수공사를 할 예정이다.” 지난 10월, 학교는 미가엘관 내부 벽의 크랙을 겨울방학 때 수리하겠다고 회대알리를 통해 학생들과 약속했다. 하지만 개강 당일에 현장을 찾아갔을 때 여전히 벽에 크랙이 남아있었다. 겨울방학 동안 벽면을 수리하지 않았던 것이다. 회대알리는 겨울방학 동안 왜 벽면을 수리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자 시설 관리와 관련 있는 직원 여러 명에게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러나 직원들은 연락을 회피하거나 미가엘관을 수리하겠다고 약속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처음에는 학교 행정 기구에서 시설보수와 영선을 담당하는 이대필 부장에게 연락했다. 이대필 부장은 “당시에는 시설보수를 총괄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일을 잘
“내가 들이대지 못할 건 아니잖아, 그치? 마지막 사랑을 한 번 하고, 그 여자한테 모든 걸 다 주고 가버리고 싶어” SNS 커뮤니티 ‘세종대학교 대나무숲(이하 대숲)’에 올라왔던 #5589 제보의 성희롱 발언을 한 주인공이 정홍택 씨로 드러났다. 정홍택 씨가 자신의 강의를 수강한 학생을 상대로 성희롱 발언을 한 것이다. 정 씨는 이번 학기에도 교양강의인 ‘저작권의 이해’를 맡았으나, 첫 번째 강의만 진행한 뒤 사직의사를 밝히고 수업을 그만둔 상태다. 그는 2011년 우리학교 석좌교수로 임용된 뒤 교양학부 소속으로 ‘사회와가치’, ‘쓰기와말하기’ 등의 강의를 맡아왔다. 피해 당사자는 <세종알리>에 당시 대화의 녹음파일 등 증거자료와 함께 피해 사실을 제보했다. ▲2월 26일 게시된 세종대학교 대나무숲 #5589 게시물. ◇ 사건전말 새해를 맞아 제보자는 정 씨에게 문자를 보냈다. 제보자가 한 학기 동안 봐 왔던 그는 존경할 만한 교수였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새해인사를 보냈다. 그로부터 5일 뒤 정 씨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그는 식
#사례1 “엘리베이터는 본관에 있어요.” 이번학기 교류학생 자격으로 외대에 수강을 신청한 변재원(22·한국예술종합학교 3학년)씨가 인문과학관 내 엘리베이터가 있냐고 묻자 들은 말이다. 변씨는 지체 3급 장애인으로 왼쪽 다리가 마비되어 있고, 평소 목발을 짚고 걷는다. 그는 이번 2014년 2학기에 한국외대에 교류학생으로서 미디어와 젠더(월34), 한국철학사(금456), 정치철학(금789)수업 총 8학점을 신청했다. 그 중 정치철학의 강의실은 인문과학관 408호였다. 다리가 불편한 변씨는 엘리베이터 없이는 4층 높이의 강의실에 올라 갈 수 없었다. 결국 변씨는 이번 학기 외대에서 강의듣기를 포기했다. #사례2 서양어대에 재학 중인 이아무개씨(22·여)는 학기 중 무릎인대파열로 무릎에 깁스를 했다. 깁스를 한 다리를 이끌고 인문과학관에 수업을 들으러 가기는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평소 인문과학관 수업이 많던 그는 혼자서는 도저히 강의실에 갈 수 없었다. 결국 이씨는 매번 부모님이나 같은 과 친구의 도움을 받아 강의실을 가야했다. 만약 인문과학관이나 교수학습개발원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었다면 이씨가 강의실까지
한참 전부터 티저만 몇 번을 돌려보며 오매불망 택배 기다리듯 기대한 영화가 있다. 10월 23일(목) 개봉한 데이비드 핀처의 ‘나를 찾아줘’. 감상평은 당장 포털 사이트에도 넘쳐날 테고 스포일러도 피할 겸, 데이비드 핀처 신작 개봉 기념 퍼스트 네임이 ‘데이비드’ 인 영화감독 3인을 소개한다. #오덕_댓츠노노 #10덕주의THRILL ME _ 데이비드 핀처최근 개봉한 <나를 찾아줘> (원제: Gone Girl)를 포함해 핀처의 필모그래피에는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 많은 편이다. 그만큼 핀처는 원작의 훌륭한 재료를 그만의 방식으로 요리하는 데 능한 감독이다. 그는 이미 평단과 관객을 모두 만족시킬 줄 아는 스릴러계의 마스터. 광고와 뮤직비디오 감독으로 인정받은 이력이 있는 만큼 독특하고 미끈한 영상미에 탄탄한 각본, 연출력이 여러 작품들의 오프닝들만 보더라도 그가 얼마나 ‘스타일’에 심취해 있는지 알 수 있다. <밀레니엄>의 오프닝은 그 중에서도 인상적인데, 검은 타르가 뒤덮은 주인공의 기괴한 이미지에 음산한 트렌트 레즈너의 선율, 거기에 카렌 오의 신경질적인 목소리가 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