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신'이 되버린 '돈의 신' 다스가 누구 것인지 아는 당신을 위한 옛날 사람들은 전쟁이나 음악처럼 인간에게 익숙한 것에도 신이 있다고 믿었습니다.그렇다면 ‘돈의 신’도 있을까요? “어, 대한민국에는 있는데..?” 그렇게 생각한 이승환은 ‘돈의 신’을 제목으로 내건 노래를 만들었습니다.‘그 분’의 스위스 비밀계좌를 추적하는 주진우 기자, 다양한 사회 문제를 노래로 풀어내는 래퍼 MC메타가 참여하여 눈길을 끌었는데요.이승환이 이런 노래를 만들 정도로 정치, 사회 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이명박 전 대통령 때문 이었습니다. JTBC <뉴스룸> 에 출연한 이승환은 “‘경제 대통령’으로서 허무맹랑한 공약을 내걸고 당선 된 이명박 전 대통령의 모습이 이상해서 우리 사회에 관심을 가졌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승환은 2015년 10월에 세월호 참사를 추모하기 위해 ‘가만히 있으라’라는 곡을 만들었는데요. 곡의 지적재산권을 포기하며 자유롭게 2차 창작을 할 수
촛불 1주년, 추운 겨울 보내며 틔워낸 시민들의 싹을 확인하다 2017.10.28. 촛불 1주년에 다시 찾은 광화문의 모습 Ⓒ 이혜원 기자 촛불 혁명 1주년, 다시 그곳으로... 2016년 겨울, 광장을 밝힌 촛불세력의 한 일원으로서 함께 했던 필자는 전철역 내부에 붙어있는 촛불혁명 1주년 기념집회 포스터를 보았다. 스스로가 혁명의 중심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온기가 그리웠기에 꼭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혹여나 “예전만큼 악에 받친 감정이 없어서, 나른한 마음에 사람들이 많이 오지 않으면 어떡하지”라는 걱정도 살짝 들었다. 그런데 그저 주말이고 날도 포근하니 데이트를 하러 나온 연인, 혹은 산책하러 나온 가족들인 것처럼 보였던 사람들이 하나같이 광화문을 향해 가고 있었다. 이런 하나 된 느낌, 약 8개월만이라 감회가 새로웠다. 경찰 수는 전보다 적었고, 살벌한 분위기도 아니었다. 어쩐지 스피커를 통해 들리는 음성이 축제의 막을 올리는 느낌이었다. 일 년 전과 다른 것이 있다면, 청소년들이 활동하는 단체가 눈에 띄게 많아졌다는 것과, 대체적으로 시민들의 얼굴에 근심과 분노보다는 편안함과 밝음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한 쪽에서 청소년 참정권 보장 운동이 진행